지금의 평가는 많이 갈리지만 당시 농촌 현대화란 것을 보면 긍정적인 영향도 있는 운동이었죠 하지만 우리나라 지역별 전통문화의 축소의 문제점도 있고 이 운동의 망령이 아직 남아 있었어서 그런지 지역개발, 신도시 개발을 강남 짝퉁 도시 개발형태를 나태 나고 있는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 경주 엑스포 공원 입장료 및 전체 정보
경주시 벚꽃 구경하기 좋은 곳 - 경주 엑스포 대공원 - 아이와 함께 가볼만 한 곳, 연인 데이트하
경주 엑스포 대공원은 경주 세계 역사 문화 엑스포를 주기적으로 개최하기도 하고 여행객들을 위해 다양한 시설이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다양한 나무들이 있는 공원엔 벚나무가 있어 만개
itatoz421.tistory.com
경주 엑스포 대공원 - 새마을관
근면, 자조, 협동에서 변화, 도전 창조의 가치를 더하여 보다 역동적이고 미래지향적인 21C 새마을 운동을 통한 대한민국과 지구촌의 따뜻한 동행, 새마을 운동의 시작과 변화, 그리고 성과와 함께 세계 속의 미라클 로드, 새마을 운동의 해외 성공사례들을 다양한 전시품, 디오라마, 영상 콘텐츠를 통해 만나는 문화 체험 공간입니다.
내무는 벽면에 사업 설명을 적어두었고 당시 생활용품들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특정 정당만을 지지하는 분들에게는 성지가 될 수 있고, 당시를 사셨던 분들에게는 추억을 회상할 수 있게 해주는 장소가, 그리고 현재 아이들에게는 조부모님(?) 때에 어떻게 생활했는지를 눈으로 볼 수 있는 곳이 될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새마을 운동 단계
내부 전시는 새마을 운동 구분해 기간별 어떤 사업을 진행했는지 소개하고 있었습니다.
1. 효과심화단계(1970~1973)
70년 4월 22일 새마을 운동의 제창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마을 가꾸기 사업이 시작, 초기엔 10대 가꾸기 사업 실시지침을 하달, 전국 3만 4천여 개의 마을 대상으로 시멘트를 무상제공, 지원 사업을 전개
마을 별 지도자를 선출해 이들을 중심으로 주민과 함께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 사업 초기 역점은 환경 개선사업이고 다음은 소득증대사업 의식 개혁
2. 사업확산단계 (1974~1976)
새마을운동이 농촌에서 도시로, 직장과 공장으로 확산. 사업의 영역과 대상도 점차 확대. 국민의식개혁, 지붕개량, 상수도설치 등 생활환경 개선사업 등이 진행됨 소득과 의식을 결합한 운동을 강조함으로써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건강을 함께 거두고자 함
3. 효과 심화단계 (1977~1979)
농촌에서는 축산과 특용작물재배를 장려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갔고 도시에서는 골목길 포장, 질서 지키기 등에 역점을 둔 도시 새마을운동 추친, 직장 및 공장에서는 생산성 제고, 물자 절약 등에 주력.
4. 체제정비단계 (1980~1989)
80년 1월 새마을운동중앙본부 발족 민간주도 체제로 전환, 중앙 조직의 지나친 독주, 운영 부실로 국민 비난을 받아 정체에 빠졌으나 진입로 포장, 작목개선, 국토 공원화 사업 진행 88년 올림픽 새마을 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해 올림픽 성공개최에 기여했다.
5. 자율 확대 단계 (1990~1999)
90년대엔 새로운 변화를 모색. 경제 살리기 운동, 건전 생활 운동, 도덕성 회복 운동, 전통문화 계승발전 운동을 시행
- 개인적으로 자율 확대 단계에 있는 도덕성 회복 운동은 지금도 진행되었으면 하는 사업 목표긴 하네요.
미국이 놀라고 일본이 질투하고 중국이 따라 하는 개쩌는 사업 - 새마을 운동
제목을 좀 어그로 끌리게 국뽕 캐치프레이즈로 잡았지만 마지막 코너는 새마을 운동을 각국 오지에 시범 운영하며 개선된 것을 보고하는 형태로 전시되어 있었다.
사업의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면 지역 개발에 있어 효율 좋은 운동이긴 하니까 이렇든 저렇든 한국의 영향력이 해외에 많아진다는 것은 국익에 도움이 되었으면 되었지만 해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경주 엑스포 대공원 위치
What 3 words - ///mandates.shorten.implicit
댓글